[법정스님 입적]
버리고 또 버리고…`아름다운 빈 손`으로 떠나다
● '공수래 공수거' 실천한 삶
종교계 담장 허무는데 앞장
글·정기 법문 통해 시대모순 지적하며 대중과 소통
11일 입적한 법정(法頂) 스님은 탁월한 글솜씨와 깊고 넓은 성찰에 바탕한 사유를 담은 글로 국민들의 사랑을 받은 수행자였다. 1993년 열반에 든 성철 스님이 치열한 선 수행의 정신으로 산문을 지키면서 불교 신자는 물론 많은 국민들의 존경을 받았다면 법정 스님은 글을 통해 대중을 만나고 소통했다. 그래서 수많은 팬을 거느린 '스타 스님'이었지만 평생 수행자의 본분을 잊지 않았다. 산문집의 제목처럼 '무소유'와 '버리고 떠나기'를 스스로 실천했다. 자신이 창건한 길상사의 회주를 한동안 맡았을 뿐 그 흔한 사찰 주지 한 번 지내지 않았던 게 그의 이런 면모를 짐작케 한다.
1932년 10월8일 전남 해남에서 태어나 목포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법정 스님은 한국전쟁을 치르면서 인간 존재에 대한 물음과 직면한다. 대학 재학 중이던 1955년 마침내 입산 출가를 결심하고 싸락눈이 내리던 어느날 집을 나섰다.
서울 안국동 선학원에서 당대의 고승이던 효봉 스님(1888~1966년,조계종 초대 종정)을 만나 그 자리에서 머리를 깎은 그는 다음 날 통영 미래사로 내려가 행자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1959년 양산 통도사에서 비구계를 받고 해인사 전문강원에서 공부했으며 《불교사전》 편찬,불경 번역에도 참여하며 4 · 19와 5 · 16을 겪었다.
또 함석헌 · 장준하 · 김동길 등과 함께 민주수호국민협의회 결성과 유신철폐운동에 참여했던 법정 스님은 1975년 인혁당 사건을 계기로 다시 걸망을 짊어졌다. 출가 본사인 송광사로 내려간 그는 송광사 뒷산에 불일암을 짓고 홀로 살기 시작했다. 1976년 산문집 《무소유》를 낸 후 찾아오는 사람이 많아지자 17년간의 불일암 생활을 정리하고 1992년부터 강원도 산골 오두막에서 홀로 지내왔다.
| ||
특히 숱한 베스트셀러를 양산하며 '무소유'의 사상을 전파한 것은 법정 스님의 최대 공적이다. 그의 대명사처럼 불리는 산문집 《무소유》는 1976년 4월 출간된 후 지금까지 34년간 약 180쇄를 찍은 우리 시대의 대표적 베스트셀러다.
그는 이 책에서 "우리는 필요에 의해서 물건을 갖지만,때로는 그 물건 때문에 마음을 쓰게 된다. 따라서 무엇인가를 갖는다는 것은 다른 한편 무엇인가에 얽매이는 것,그러므로 많이 갖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많이 얽혀있다는 뜻"이라고 설파했다. 본래 한 물건도 없는데(本來無一物) 무엇에 집착할 것인가. 그의 이런 생각과 가르침은 종교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자아냈다. 1992년 강원도 산골 오두막으로 거처를 옮긴 뒤에도 스님은 《새들이 떠나간 숲은 적막하다》(1995년) 《오두막 편지》(1996년) 등을 잇달아 내놓으며 '소욕지족(少慾知足 · 욕심을 줄이고 만족할 줄 아는 것)'하며 살 것을 강조했다.
2007년 이래 건강이 나빠진 법정 스님은 폐암을 앓는 중에도 지난해 법문집 《일기일회(一期一會)》 등을 내놓으며 대중들에게 '맑고 향기로움'을 선사했다.
법정 스님은 이번 겨울을 제주도에서 보내다 최근 병세가 악화돼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했다. 스님은 입적 전날인 10일 밤 "모든 분들께 깊이 감사드린다. 내가 금생에 저지른 허물은 생사를 넘어 참회할 것이다. 내것이라고 하는 것이 남아 있다면 모두 맑고 향기로운 사회를 구현하는 활동에 사용해달라.이제 시간과 공간을 버려야겠다"는 말을 남겼다고 조계종은 전했다.
또 머리맡에 남아 있는 책을 자신의 저서에서 약속했던 대로 신문을 배달한 사람에게 전해 줄 것을 상좌에게 당부했다. 아울러 "그동안 풀어놓은 말빚을 다음 생으로 가져가지 않겠다"며 《무소유》 《일기일회》 등 자신의 이름으로 출판한 모든 출판물을 더 이상 출간하지 말아달라고 간곡히 부탁한 것으로 전해져 주목된다.
서화동 기자 fireboy@hankyung.com
입력: 2010-03-11 17:10 / 수정: 2010-03-12 09:28
…
법정 스님의 입적 소식에 기사를 복사해왔습니다.
법정 스님의 입적에 안타까움이 많습니다.
우리를 위하여 더 계셨더라면…
그런 욕심도 비추게 됩니다.
당신께서 저자로 있는 책을 절판하고 사리도 찾지 말고 일체 장례의식 또한 치르지 말라는 유언을 남기셨다 합니다.
어찌? 큰 가르침을 두신 분들은 이리도 빨리 떠나가실까요?
또 다른 '부름'이 있어서겠지요.
이제 열반에 드신 법정 스님.
당신께서 몸소 실천하신 그 무소유의 삶은 많은 이들에게 큰 가르침이 될 것입니다.
불가에서의 윤회처럼 돌고 돌고 돌고 돌아 또 다른 인연으로 맺어지길 비나이다.
극락왕생을 빕니다.
'꿈꾸는, 外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여러분 도와주세요 꼭 봐주세요 !!! (0) | 2010.03.16 |
---|---|
법정 스님께서 생전에 추천한 50권의 책 (0) | 2010.03.12 |
[스크랩] [성명서]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반문화적 행태에 대한 한국작가회의의 입장 (0) | 2010.03.08 |
소년은 정복당하지 않는다 [김은경] (0) | 2010.03.05 |
목련예찬 [박철환] (0) | 2010.03.01 |